방울뱀은 동료와 함께 있으면 스트레스와 불안감이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포유류나 조류 등 사회성이 높은 동물에서 나타나는 '소셜 버퍼링(social buffering)'이 뱀에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로마린다대학교 연구팀은 20일 공식 채널을 통해 맹독을 가진 방울뱀이 뜻밖에도 동료들과 함께 지낼 때 '소셜 버퍼링' 효과를 누린다고 전했다.

'소셜 버퍼링'은 동료가 있으면 심적 안정감을 얻는 사회적 완충을 의미한다. 인간을 포함한 동물들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호르몬을 분비해 육체적 행동부터 신경계, 면역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대응 반응을 보인다. 스트레스에 노출된 상황에 동료가 옆에 있거나 스킨십을 취하면 스트레스 반응이 누그러질 수 있다.

연구팀은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뱀 등 파충류 일부가 복잡한 사회성을 가진 점에 주목했다. 과연 뱀도 동료들과 함께 있으면 불안감을 덜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간단한 실험을 기획했다.

방울뱀도 동료와 함께 있으면 소셜 버퍼링 효과를 받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pixabay>

연구팀은 야생에서 포획한 남태평양 방울뱀 25마리를 준비했다. 남태평양 방울뱀은 미국 남서부나 멕시코 북부의 건조한 지역에 서식하며 몸길이는 60~120㎝다. 혈액독의 하나인 강력한 헤모톡신을 뿜어내는데, 물리면 혈액이나 조직이 파괴돼 아주 위험하다.  

방울뱀의 '소셜 버퍼링'을 시험하기 위해 연구팀은 양동이 여러 개에 방울뱀을 넣었다. 각 양동이에는 뱀 한 마리 또는 두 마리, 그리고 뱀 한 마리와 밧줄 등 서로 다른 형태로 뱀이 들어갔다.

이후 연구팀은 양동이 겉면을 플라스틱 파이프로 두드려 내부의 뱀에 스트레스를 줬다. 이때 방울뱀들의 심박수나 공격 신호음(딸랑이)을 관찰했다.

사람은 물론 동물들은 가족, 동료와 함께 지내며 심적 안정감을 얻는다. <사진=pixabay>

그 결과 심박수나 공격 신호음의 정상치 회복이 가장 빠른 것은 동료와 함께 양동이에 들어간 뱀들이었다. 양동이에 혼자 또는 로프와 함께 담긴 방울뱀은 상대적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회복도 느렸다. 

실험 관계자는 "방울뱀은 전부터 사회성이 있는 파충류로 생각됐다. 고지대에 사는 방울뱀들은 집단 동면하는 경우가 많고 암컷도 알을 낳을 때 동료들과 모여 당분간 사는 습성이 있다"며 "이번 실험에서는 고지대·저지대 가릴 것 없이 모든 방울뱀에서 '소셜 버퍼링'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사회적 완충 현상이 뱀에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실험 대상을 파충류 전체로 확대하면 '소셜 버퍼링' 현상을 더 파악하게 될지 모른다"고 기대했다.

이윤서 기자 lys@sputnik.kr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