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각지의 농지를 위성이 면밀하게 관찰, 작물의 건강 상태 등 경작 상황 파악하는 인공위성 기술이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유럽우주국(ESA)은 11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패치워크(색이나 무늬, 크기가 다른 천들을 이어 붙인 수공예품)를 떠올리게 하는 지구 농지 위성사진을 공개했다.

이 이미지는 ESA의 지구 관측 미션에 동원된 위성 센티넬-2가 미국 텍사스주 헤리퍼드 부근의 농지를 촬영한 뒤 편집한 결과물이다.

ESA의 지구 관측 위성 센티넬-2가 미국 헤리퍼드 농지를 촬영한 사진 <사진=ESA 공식 홈페이지>

ESA 관계자는 “헤리퍼드는 반건조 기후인데 지하의 광활한 대수층에서 퍼 올린 물을 관개에 이용한다”며 “밀이며 옥수수, 대두, 양파 같은 농작물이 건강하게 자라고 있다”고 설명했다.

센티넬-2가 지난 2019년 3월 17일부터 4월 21일까지 촬영한 이 사진은 정규 식생 지수(Normalis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가 이용됐다. NDVI는 영상 처리 기술의 하나로 농작물 같은 식생의 유무를 강조하는 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근적외선과 적색광 밴드 사이의 값 차이를 두 밴드를 합한 값으로 나눠 계산한다.

ESA 관계자는 “패치워크를 구성하는 색깔은 지상의 식생 상태를 아주 선명하게 나타낸다”며 “적·황·녹색은 식생의 성장 변화, 백색은 이 기간에 식생이 풍부했던 곳, 검은색은 식생이 부족했던 곳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거대한 암(arm)에 부착된 스프링클러로 구성되는 센터피벗. 대규모 경작지에 유리하다. <사진=미국지질연구소(USGS) 공식 홈페이지>

이어 “각 농지의 식생 현황이 반영된 이미지는 마치 농지가 그려낸 컬러풀한 패치워크 같다”며 “인공위성의 관측 데이터를 사용하면 식물의 건강이나 성장을 파악하는 것은 물론 향후 어떤 작물을 심어야 할지, 어디에 경작지를 구성해야 할지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눈여겨볼 점은 농지의 상당 부분에 나타난 수많은 원형 무늬다. 이는 센터피벗이라고 불리는 관개시스템의 하나다. 센터피벗은 농지 중앙에서 뻗은 길이 수백 m~1㎞의 길다란 암에 다수의 스프링클러를 장착한다. 암 전체가 원을 그리듯 움직이면서 물을 뿌리는데, 암이 그리는 원 외에는 물이 닿지 않기 때문에 작물을 키울 수 있는 범위도 원형으로 변한다.

정이안 기자 anglee@sputnik.kr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