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유지장치를 제거한 사망자 중 일부는 다시 심장이 뛰었으며, 사후 4분20초 뒤에도 심장 활동이 재개된 사례가 발표됐다. 기증자로부터 장기를 떼어내기 전 대기시간을 국제적으로 표준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캐나다와 체코, 네덜란드 의사 20명은 29일 뉴잉글랜드의학저널을 통해 발표한 논문 '생명유지장치 제거 후 심장 활동 재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3개국 중환자실에서 진행된 이번 연구에서 의료진은 회복 가능성이 없다고 확인한 후 생명유지장치를 제거할 예정인 환자 631명의 가족에 동의를 구했다. 생명유지장치를 제거하기 전 15분과 사망 후 30분 동안 환자의 혈압, 심전도(ECG) 및 산소포화도를 추적하기 위해 모니터를 설치했다.

사망한 환자의 심장이 다시 뛰는 사례에 대한 집중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사진=pixabay>

그 결과 5명의 환자(1%)가 심장 활동과 호흡 운동을 동시에 재개한 것으로 보고됐다. 또 완전한 모니터링 기록이 있는 480명의 환자를 분석한 결과 67명(14%)이 심장 박동을 한 번 이상 재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장 활동이 재개되기 전 맥박이 멈춘 가장 긴 기간은 4분20초였다.

이러한 심장 활동 재개는 대부분 1~2분 사이에 관찰됐다. 일반적으로 한 번만 지속되거나 5초 미만이었다. 물론 환자 전원은 5분 이내에 사망했다.

이 연구는 장기 이식 문제 때문에 실시됐다. 주 연구자인 캐나다 온타리오 동부 어린이병원의 소니 다나니 박사는 "우리는 장기 기증에 대한 현재 기준을 재확인할 과학적 필요를 느꼈다"며 "이번 연구 결과로 환자 사망 후 최소 5분은 더 기다려야 한다고 확신한다"고 밝혔다.

특히 박사는 "대부분 장기 이식은 사망한 기증자로부터 장기를 제거하기 전 일정 시간 기다려야 하지만, 프로토콜은 국가나 지역에 따라 다르다"며 "짧게는 2분, 최대 10분까지 대기하는 경우도 있어 통일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지난 2008년 미국 콜로라도에서는 신생아가 사망한 후 75초 만에 장기를 떼어내 논란이 됐다. 시간이 너무 길어 10분을 넘기면 조직 손상으로 장기가 쓸모없어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장기기증에 대한 국제적 표준이 필요하다는 의료진 주장이 제기됐다. <사진=pixabay>

연구팀은 생명유지장치를 떼어내는데 부담을 느끼는 환자 가족에게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통사고로 뇌사상태에 빠진 22세 아들을 이번 연구에 참가시킨 온타리오의 헤더 탤봇이라는 여성은 기자회견에서 "마지막에 모니터를 보고 '좋아, 아들은 한 번도 숨을 쉬지 않았고 그저 기계들이 움직인 것 뿐이었구나'란 생각이 들어 위안이 됐다"고 말했다.

다나니 박사는 "장기 이식에 관한 프로토콜은 5분 규칙을 준수해야 하며, 환자의 심장이 다시 뛰면 타이밍을 조정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며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장기 기증 과정을 국제적으로 표준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채유진 기자 eugene@sputnik.kr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