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훼손을 이유로 풍력발전소들이 지상이 아닌 바다에 주로 건설되는 가운데, 이로 인한 소음이 상상 이상으로 해양 생물에 치명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덴마크 오르후스대학교 연구팀은 지난달 29일 국제 저널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에 낸 논문에서 해상 풍력발전소 건설 시 발생하는 소음을 보다 강력하게 규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해상 풍력발전소 설치 소음은 상식을 넘는 심각한 수준이다. 바다 위에 거대한 발전소를 세우려면 튼튼한 지지대를 여럿 박아야 하는데 이때 가장 심한 소리가 발생한다. 현재 적용되는 각국의 바다 소음 규제는 가장 선진적인 미국마저 7년 전 연구에 근거한 것이라 실효성이 없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사실 다른 바다 소음이 생물에 미치는 영향도 상상 이상이다. 해군 잠수함이나 어선이 쏘는 소나(SOund Navigation And Ranging, SONAR), 즉 음파탐지기 소리에 돌고래가 무더기로 죽은 사례가 있다. 지진 관측 장비의 초음파 역시 일부 바다 생물들을 난청으로 만들거나 방향감각을 앗아간다는 학계 보고가 전해진다.

산 등 지상에 짓는 풍력발전소가 자연을 훼손한다는 지적에 최근에는 바다 위에 발전소를 짓는 경우가 많다. <사진=Tech Vision 유튜브 공식 채널 영상 'The World's Biggest Wind Turbine' 캡처>

연구팀 관계자는 “각국 해양청의 바다 소음 규제는 소나 또는 해상 풍력발전소 건설, 지진 관측 활동 등으로 발생하는 소음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다”며 “소음 제한의 상한선을 올려야 해양 생물들의 청각을 지킬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현재 바다 소음 규제들은 양식되는 해양 동물의 실험에 기초한 것”이라며 “동물을 소음에 일시적으로 노출시켜 청각이 저하(청각 피로)되는 최소 음량만으로는 제대로 된 규제가 어렵다”고 아쉬워했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소리 자극 후 나타나는 일시적 역치 변동, 즉 TTS(temporary threshold shift) 값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TTS 값은 일시적 난청을 일으키는 최소한의 소음 수준이지만 여기서 영구적 장애로 이어지는 소음 수준을 추측할 수도 있다.

소나 피해로 떼죽음이 보고됐던 돌고래 <사진=pixabay>

특히 연구팀은 동물마다 청각이 다르기에 종에 맞는 가이드라인 마련도 촉구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지금까지의 소음 가이드라인은 한정된 주파수에 의한 계측 데이터에 근거한 것으로 다양한 해양 생물에 일괄 적용하기는 곤란하다. 고주파수는 쥐돌고래에게, 저주파수는 바다표범에게 해로운 것이 좋은 예다.

연구팀 관계자는 “바다 소음 규제를 강화하는 동시에 인류의 경제활동을 과도하게 규제하지 않기 위해서는 타협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며 “쥐돌고래의 피부에 전극을 부착한 뒤 청각 감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종별 해양 동물을 지키면서 적정 소음 상한선을 계속 조율해야 한다”고 전했다.

정이안 기자 anglee@sputnik.kr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