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3차 발사가 성공했다. 독자 개발한 관측 위성의 사출과 신호 송·수신까지 이뤄지면서 누리호는 강렬한 인상을 남기며 세계 우주개발 무대에 공식 데뷔했다. 자체 개발한 위성과 발사체 운용 국가 대열에 합류한 우리나라는 최근 수요가 급증하는 페이로드 위탁 운송이 가능하게 돼 우주개발이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5일 실시한 누리호 3차 발사가 국민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성공했으며, 각 위성의 관측 활동 역시 순조로운 상황이라고 26일 밝혔다.

누리호는 25일 오후 6시24분 정각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서 엄청난 화염을 뿜어내며 힘차게 솟아올랐다. 누리호는 전날 같은 시각 발사를 예고했다가 시스템 오류로 이날 재도전에 나섰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25일 오후 6시24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서 힘차게 솟아올랐다.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공식 홈페이지>

1단과 2단 추진체, 페어링 분리가 순조롭게 이뤄진 누리호는 실전 위성을 탑재한 3단의 엔진 점화가 정상적으로 이뤄지면서 5부 능선을 넘었다. 예정된 고도 550㎞에 도달한 누리호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위성 센터가 열 번째로 제작한 '차세대소형위성 2호(넥스트샛-2)'에 이어 신발 상자 크기의 큐브샛 4종 총 7기를 순차적으로 정상 사출했다.

KAIST에 따르면 '넥스트샛-2'는 이날 오후 7시7분경 남극 세종기지에 비콘(위성에서 주기적으로 지상으로 보내는 고유의 식별 신호)을 송신했다. 51분 뒤에는 KAIST 지상국과 교신도 이뤄졌다.

루미르의 '루미르(LUMIR)-T1', 카이로스페이스의 'KSAT3U', 져스텍의 'JAC' 등 민간 큐브샛과 한국천문연구원의 '도요샛' 4기도 각기 신호를 송·수신했다. 다만 천문연구원은 '도요샛' 4기 중 1기의 사출 성공 여부 확인에 시간이 좀 더 걸린다는 입장이다.

누리호 3차 발사 순간. 1단 추진체 엔진 점화와 함께 기체가 이륙하자 엄빌리컬 타워(오른쪽)의 연결장치가 일제히 해제됐다.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공식 홈페이지>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누리호 발사 약 1시간 20분 뒤 브리핑을 갖고 누리호 3차 발사가 성공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 장관은 한국형 발사체의 성능과 신뢰성을 검증하는 이번 테스트를 통해 우리나라는 다양한 위성 운용과 우주 탐사의 가능성을 가진 우주개발 강국으로 발돋움했다고 설명했다.

누리호는 지난해 2차 발사에서 1.5t의 모의 위성을 싣고 지구 저궤도 700㎞에 도달했다. 이 시점에서 우리나라는 1t 넘는 페이로드를 독자 개발한 로켓에 실어 우주에 올릴 수 있는 7번째 국가가 됐다. 이번에는 민·관·학의 실전 위성을 8기나 싣고 예정된 궤도에 사출, 신호 송·수신까지 이뤄지면서 한국은 엄연히 우주개발 강국으로 떠올랐다.

발사체는 스페이스X 등 초대형 민간 업체의 가세로 경쟁이 치열한 우주개발 시장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발사체가 있어야 위성이든 우주선이든 마음대로 쏘아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수십만 개 넘는 부품이 들어가는 로켓은 고도의 기술 집약체다. 부품 하나라도 잘못되면 작동하지 않거나 심지어 폭발할 수 있다. 엄청난 인적 자원과 천문학적인 비용이 소요돼 어지간한 국가는 엄두도 내지 못한다.

지구 저궤도 550㎞ 상공에서 누리호 3단 추진체 사출구를 통해 위성이 순차적으로 튀어나왔다. 각 위성은 궤도에 안착한 뒤 지상 송신국과 신호 송·수신에 나섰다.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공식 홈페이지>

누리호는 2025년부터 우리나라 각 기업과 연구 기관이 개발한 다양한 위성을 싣고 발사된다. 이런 과정을 거치며 신뢰가 쌓이면 당장 동남아시아나 중동, 아프리카 등 독자 발사체가 없는 많은 국가들의 페이로드 수송을 위탁할 것으로 기대된다.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글로벌 우주개발 시장은 2030년 약 740조원 규모로 성장한다. 현재까지 1% 안팎으로 평가되던 한국의 시장 점유율은 누리호의 3차 발사 성공으로 더 올라갈 수 있게 됐다. 

누리호의 발사 성공과 함께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아졌다. 경쟁이 한층 치열해지는 만큼, 한국 우주개발 산업이 치고 나갈 수 있도록 일단 국민적 관심이 지속돼야 한다. 여기에 꾸준한 연구와 과감한 투자, 효과적인 정책이 뒷받침돼야 우리나라 우주개발 역량은 더 빠르게 성장할 수 있다. 

정이안 기자 anglee@sputnik.kr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