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짓기를 시도하다 최후를 맞은 흰개미 한 쌍의 호박 화석이 공개됐다. 약 3800만 년 전 것으로 확인된 호박 화석은 멸종종 및 현생종 흰개미의 생태 비교에 유용한 자료라고 학계는 평가했다. 

일본 오키나와과학기술대학원대학(OIST) 등 국제 연구팀은 이달 5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를 통해 멸종된 흰개미 한 쌍이 갇힌 3800만 년 된 호박 화석을 소개했다.

러시아 최서단 칼리닌그라드에서 발견된 이 호박은 고대 동물의 구애 행동을 보여주는 희귀 화석으로 주목된다. 호박에 갇힌 흰개미는 멸종한 일렉트로테르메스 아피니스(Electrotermes affinis)로 확인됐다.

병렬주행 자세로 구애 행동을 하다 호박에 갇힌 3800만 년 전 흰개미 한 쌍 <사진=OIST 공식 홈페이지>

OIST 미즈모토 노부아키 교수는 "두 흰개미는 가로로 나란히 몸을 포갠 상태로 영원히 멈춰버렸다"며 "이런 행동은 현생종 흰개미가 구애 시 취하는 병렬주행(tandem running)과 흡사하다"고 전했다.

흰개미의 병렬주행은 마치 열차를 구성하는 각 차량처럼 흰개미가 다른 흰개미 바로 뒤를 따르는 것을 말한다. 서로 떨어져 버리지 않도록 뒤의 개체가 앞 개체의 복부를 꼭 붙잡는 것이 특징이다.

연구팀은 사랑을 나누던 일렉트로테르메스 아피니스가 어떻게 호박에 갇혔는지 시뮬레이션했다. 그 결과 두 개미는 현생종 흰개미와 같은 방식으로 구애 행동을 했으며, 호박에 갇히는 와중에도 서로에 열중했다고 파악했다. 

흰개미가 갇힌 호박 화석의 확대 이미지 <사진=OIST 공식 홈페이지>

미즈모토 교수는 "마이크로 CT 스캔 결과 호박 속의 흰개미 암컷이 수컷의 복부에 닿아 있는 구조가 드러났다"며 "이번 발견은 현대 흰개미의 구애 행동이 수천만 년 전 조상들의 그것과 매우 흡사하다는 것을 알려줬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호박 화석이 생성된 과정에 대해 교수는 "수목에 난 상처에서 진액이 흘러나오는 것이 호박의 시작"이라며 "나무 주변의 곤충 등 동물의 몸에 진액이 들러붙고, 이후 더 많은 진액이 흘러든 뒤 최소 4만 년이 흐르면 단단한 호박 화석이 만들어진다"고 말했다.

이윤서 기자 lys@sputnik.kr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