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5년 발표된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강한 중력은 시공간의 구조를 휘게 만들며, 이에 따라 거대한 질량을 가진 천체 근처에서는 빛이 굴절되고 확대되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를 '중력 렌즈'라고 부른다.

그 중 멀리 떨어져 있는 퀘이사 같은 천체가 앞에 있는 큰 질량의 은하에 의해 강하게 굴절돼, 은하를 둘러싼 4개 퀘이사로 보이는 것을 '아인슈타인의 십자가(Einstein Crosses)'라고 한다. 아인슈타인은 이미 1912년 이런 현상을 예측했지만, 실제로 발견되는 데에는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가이아 DR2를 통해 발견한 12개의 아인슈타인의 십자가 <사진=The GraL Collaboration>

과학자들은 1979년 처음으로 중력 렌즈에 따른 다중 이미지 퀘이사(multiply imaged quasar) 'Q0957+561'를 발견했고, 1985년에 마침내 페가수스 자리에서 'QSO 2237+0305'라는 아인슈타인의 십자가를 찾아냈다. 이어 두 번째 아인슈타인의 십자가(J2211-3050)는 2019년 3월 18일에 발표됐다.

이번에 호주, 브라질, 인도, 유럽 및 미국 과학자들의 국제협력체 가이아중력렌즈워킹그룹(GraL)은 유럽우주국(ESA) 가이아 천문대가 발표한 데이터(Gaia DR2)를 이용해 12개의 새로운 아인슈타인의 십자가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중력 렌즈로 아인슈타인의 십자가를 설명하는 이미지 <사진=NASA 공식 홈페이지>

한꺼번에 많은 발견이 이뤄진 것은 ESA의 '가이아 미션' 덕분이다. 프랑스 니스소피아앙티폴리스대학교 천문학자 프란시스 마냐르는 "새로운 아인슈타인의 십자가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며 "정확히 어디에서부터 검색해야 할지 알 수 없고 단지 후보지를 둘러보는 데에도 엄청난 공간 해상도가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다만 2013년부터 시작된 ESA의 가이아 미션은 기존과 비교가 안 될 정도의 해상도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몇 달에 한 번씩 하늘 전체를 조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 이 분야의 연구를 가속화했다.

은하수를 탐사하는 가이아 우주관측소 <사진=ESA 공식 홈페이지>

연구팀은 먼저 강력한 퀘이사 후보를 찾기 위해 특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했다. 이후 밀접하게 붙어있는 4개의 밝은 빛이 실제 4개의 별이 우연히 늘어선 것이 아니라 아인슈타인의 십자가라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미 항공우주국(NASA)의 가시광선 측정치와 케크I(Keck I) 망원경을 동원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12개의 새로운 아인슈타인의 십자가를 찾아냈으며, 이로써 발견된 총 갯수는 50여개로 늘었다.

과학자들은 이같은 발견은 우주의 팽창률과 암흑물질 등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보고 있다. 또한 추후 가이아 미션을 통해 더 많은 데이터가 공개되면 아인슈타인의 십자가를 더 찾아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우주물리학 저널에 게재됐다.

채유진 기자 eugene@sputnik.kr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