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갑충류에 비해 생식기가 비정상적으로 큰 신종 딱정벌레가 남미에서 발견됐다. 학계는 1800년대 독일 화학자 에밀 피셔가 제창한 자물쇠와 열쇠 이론을 입증한 사례라고 평가했다. 

알렉산더 폰 훔볼트 재단 생물학연구소는 15일 발표한 조사 보고서에서 콜롬비아에서 채집한 신종 딱정벌레 에이기디누스 엘바에(Aegidinus elbae)를 소개했다.

공개된 개체는 수컷으로, 표본은 2000년 콜롬비아 치리비케테 국립공원에서 발견됐다. 이후 알렉산더 폰 훔볼트 재단 생물학연구소가 보관하고 있다가 코로나19 사태가 끝날 무렵인 지난해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콜롬비아 치리비케테 국립공원에서 채취한 신종 딱정벌레 에이기디누스 엘바에 수컷 <사진=알렉산더 폰 훔볼트 재단 생물학연구소 공식 홈페이지>

조사 관계자는 "에이기디누스 엘바에는 딱정벌레 특유의 갑충 이미지가 강하다"며 "뭐니 뭐니 해도 신종 딱정벌레의 가장 큰 특징은 거대한 생식기"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에이기디누스 엘바에 수컷은 몸 크기에 비해 생식기가 매우 크고 강하게 발달됐다"며 "이 같은 점에서 같은 속의 다른 어떤 종과도 차별된다"고 강조했다.

연구소는 신종 딱정벌레 수컷의 생식기 크기가 일부 생물에 나타나는 생식적 격리(reproductive isolation)를 잘 보여준다는 입장이다. 생식적 격리란 어떤 생물의 생식기 구조나 크기, 생식 방법 등의 차이로 말미암은 개체별 특징을 의미한다.

확대해서 본 신종 딱정벌레 에이기디누스 엘바에 수컷의 생식기 <사진=알렉산더 폰 훔볼트 재단 생물학연구소 공식 홈페이지>

조사 관계자는 "우리 생각이 맞는다면 에이기디누스 엘바에의 수컷과 암컷의 생식기는 열쇠처럼 정확히 들어맞는 구조일 것"이라며 "1894년 제창된 생물학 이론 '자물쇠와 열쇠 이론'은 효소를 대상으로 했지만, 그 연장선상에서 이해 가능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생식기의 독특한 구조 때문에 신종 딱정벌레는 생식적 격리가 불가피했을 것"이라며 "같은 속의 다른 종과 교잡하는 일이 없어 독자적인 진화를 계속해 온 것으로 보인다"고 추측했다.

연구소는 에이기디누스 엘바에는 다른 딱정벌레속 곤충들과 달리 머리가 반들반들한 껍질로 구성되는 등 다른 특징도 여럿 있다고 전했다. 딱정벌레류를 이르는 갑충은 이미 35만 종 이상이 알려져 있는데, 이번 발견은 갑충의 비밀에 한발 다가선 성과라고 연구팀은 자평했다.

이윤서 기자 lys@sputnik.kr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